비트코인 등장 및 탄생배경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비트코인 창시자가 지적한 전통 금융시장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봐야 합니다. 비트코인은 전통적인 금융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으니까요. 즉, 문제점으로부터 비트코인의 등장 및 탄생배경, 비트코인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5가지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비트코인이 해당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야기 순서
01 금융이란 무엇인가? 금융의 정의
금융이란 무엇일까요? 자금융통을 줄여서 금융이라고 합니다. 즉, 가장 쉽게 표현하자면 자금 수요자가와 공급자 간에 돈이 왔다 갔다 하는 것을 금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금융시장에서 자금 수요자와 공급자간에 돈이 왔다 갔다 할때 금융사고가 없도록 관리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바로 중앙은행(정부) 입니다.
중앙은행이 돈의 발행 및 총량 관리 등의 업무를 독점적으로 수행해 왔던 것이죠. 이로 인한 장점도 있지만 장점에는 항상 단점도 따르기 마련입니다. 이러한 단점이 바로 전통적인 금융시장의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전통적인 금융시장의 문제점 5가지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02 전통적인 금융시장의 문제점
비트코인의 창시자인 사토시 나카모토는 2008년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이라는 백서를 발표하며 비트코인의 개념을 세상에 소개했습니다. (그는 2009년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시작하며 최초의 블록을 채굴하였지만, 2010년을 끝으로 활동을 중단하고 사라졌습니다. 그의 정체는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으며, 개인인지 그룹인지조차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그가 비트코인의 세상에 선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법정화폐가 지속적으로 가치를 잃는 상황 속에서, 전통적인 금융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 비트코인을 소개한 것입니다.
비트코인이 최초로 세상에 소개된 2008년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해로 전통 금융 시스템이 가진 여러 문제점이 두드러진 해였습니다. 도대체 어떠한 점들이 전통적인 금융시장의 문제점이었는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전통적인 금융시장에 대한 신뢰 붕괴
- 화폐 가치의 불안정성
- 금융거래의 투명성 부족
- 높은 금융거래 비용
- 특정 계층의 금융소외 문제
1) 전통적인 금융시장에 대한 신뢰 붕괴
전통 금융시스템은 은행과 정부라는 중앙기관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는 이러한 신뢰를 무너뜨리는 상징적인 사건이었습니다. 투자은행은 고객의 돈을 위험한 곳에 투자했으며, 정부는 이런 은행을 파산으로부터 구제하기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입했습니다. 2008년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이 바로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화폐 가치의 불안정성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관으로 무제한적으로 화폐를 발행할 수 있으며, 이는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져 화폐의 구매력을 감소시킵니다. 대표적으로 베네수엘라에서는 2010년대 후반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 가치가 급락하여 국민들의 삶이 극도로 어려워졌습니다.
3) 금융거래의 투명성 부족
전통 금융시스템에서는 은행과 정부가 금융거래 내역을 독점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거래의 투명성이 부족합니다. 예를 들어, 2012년 JP모건의 ‘런던고래 사건’에서는 은행 내부 거래가 불투명하게 운영되면서 수십억 달러의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4) 높은 금융거래 비용
전통적인 금융시스템에서는 금융거래에 높은 비용이 듭니다. 예를 들어, 국제 송금을 할 때 중개기관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죠. 또한, 일반적으로 은행을 통한 국제 송금은 3~5일 이상 걸리며 수수료도 높습니다. 이는 특히 개발도상국의 노동자들이 본국으로 송금할 때 큰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5) 특정 계층의 금융소외 문제
현재 약 17억 명의 사람들이 은행 계좌 없이 살아가며, 전통 금융 시스템으로부터 소외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와 같은 지역에서는 금융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인프라가 부족하여 많은 사람들이 전통적인 금융시스템을 통한 금융 거래를 할 수 없습니다.
03 비트코인 등장 및 탄생배경(역사)
- 비트코인은 전통적인 금융시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
- 전통적인 금융시장에서의 탈피(탈중앙화)
- 화폐가치의 안정성
- 금융거래에 대한 투명성 향상
- 거래비용 절감
- 금융 소외 문제 해결
1) 전통적인 금융시장에서의 탈피(탈중앙화)
비트코인은 중앙은행 시스템이 가진 독점적 권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것이 바로 비트코인 등장 첫번째 이유 입니다. 중앙기관 없이 운영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탈중앙화를 실현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모든 비트코인 거래는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누구나 확인할 수 있으며, 단일 주체가 이를 통제할 수 없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금융시장에 대한 신뢰 붕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2) 화폐가치의 안정성
비트코인의 발행량은 2,100만 개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즉, 비트코인은 특정 정부나 기관이 화폐 시스템을 통제하지 못하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이는 중앙은행이 화폐를 무제한으로 발행하여 발생하는 인플레이션 문제가 발생하지 않다는 다는 것을 의미하며 화폐가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것이 바로 비트코인 등장 두번째 이유 입니다.
3) 금융거래에 대한 투명성 향상
비트코인 등장 세번째 이유는 금융거래의 투명성 입니다. 비트코인은 모든 거래 내역이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누구나 열람할 수 있어 투명성을 보장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주소에서 이루어진 거래 내역을 조회하면 해당 거래의 출처와 목적지를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통 금융 시스템이 가지는 불투명성과 가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4) 거래비용 절감
비트코인 등장 네번째 이유는 거래비용 절감 입니다. 비트코인은 중개 기관 없이 개인 간(P2P) 거래를 가능하게 하여 거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합니다. 예를 들어, 국제 송금을 비트코인으로 진행하면 은행 수수료와 처리 시간이 대폭 줄어듭니다. 이는 현재 금융시스템과는 달리 개발도상국 노동자들이 본국으로 돈을 송금할 때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5) 금융 소외 문제 해결
비트코인은 은행 계좌 없이도 인터넷만 있으면 누구나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케냐의 모바일 결제 시스템인 M-Pesa와 비트코인을 결합하면 기존 은행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는 사람들도 디지털 자산을 이용해 송금과 거래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기존 전통 시스템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거래구조 입니다. 이것이 바로 비트코인 등장 마지막 이유입니다.
04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추천
은 행 빌라담보대출 갈아타기 통해 이자 부담 줄이는 방법(2024.9월부터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