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투자 섹터 분석 방법 완벽정리(2탄)

이번 글에서는 금융섹터(금융주)를 중심으로 미국 주식투자 섹터 분석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어떻게 섹터분석을 통해 투자 추천 종목, 투자 비추천 종목을 구별할 수 있는지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시죠. 제가 정리한 섹터 분석의 핵심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이야기 순서


01 주식투자 섹터 분석 방법(요약)

주식투자 섹터 분석 방법

이전 글에서는 상승할 종목을 찾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지 구체적으로 생각해 봤습니다. 어떻게 해야 한다고 했죠? 월드컵에 출전할 우수한 선수를 찾는 과정을 생각해보면 된다고 했습니다. 모든 학교가 아닌 축구부가 있는 학교를 알아보고, 축구부가 있는 학교 중에서도 성적이 좋은 학교를 선별하고, 성적이 좋은 학교에서도 실력이 좋은 선수를 선별해야 합니다. 이제 앞의 설명을 섹터 및 종목으로 바꿔서 생각해보면 상승할 종목을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아래와 같은 과정이죠!

  • (0단계) 모든 개별종목이 아닌 아닌 섹터를 분석한다.
  • (1단계) 섹터중 가장 상승 가능성이 높은 섹터를 찾는다.
  • (2단계) 상승 가능성이 높은 섹터 안에서 상승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찾는다.

그런데 말이 쉽지 실제로 상승할 종목을 어떻게 찾는지 그 과정이 궁금하시죠? 궁금증을 풀어보기 위해 아래에서는 섹터분석을 통해 투자할 만 종목(투자 추천 종목), 투자를 조심해야 하는 종목(투자 비추천 종목)을 어떻게 구별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02 섹터분석 예시: 추천 종목

우선 이번 글에서는 최대한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섹터중 가장 상승 가능성이 높은 섹터를 찾는 과정(1단계)은 생략하고, 섹터 안에서 상승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찾는 과정(2단계)만 살펴보겠습니다. 하지만 상승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찾는 방법(2단계)과 상승 가능성이 높은 “섹터”를 찾는 방법(1단계)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기에 2단계만 잘 이해하시면 모든 과정을 이해하는 것과 다름 없습니다.

제가 설명을 위해 선택한 추천 종목인 GS은 금융섹터에 속하는 주식중 하나이며, XLF는 금융섹터를 대표하는 ETF중 하나입니다. 즉, 커다란 XLF라는 집합안에 GS가 존재하는 것이죠. (2단계)는 어떠한 단계라고 했죠? 상승 가능성이 높은 섹터 안에서 상승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찾는다!라고 했습니다. 즉, XLF보다 GS가 더 큰 폭으로 상승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더 큰 폭으로 상승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 일까요? 구체적으로 더 큰 폭으로 상승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저는 2가지 도구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바로 Structure와 Divergence입니다.

  • (주식투자 섹터 분석 방법1) 차트의 Structure
  • (주식투자 섹터 분석 방법2) 차트간 Divergence
섹터투자 추천 종목
[출처] Webull

우선 차트의 Structure를 파란색 선으로 표시해 두었습니다. 차트의 Structure는 기본적으로 캔들의 움직임을 따라 그리는데, 개인적으로 제가 그리는 방법은 별도의 글에서 다뤄보겠습니다. 우선 이번 글에서는 이미 그려 놓은 Structure를 보고 설명을 이어가보겠습니다.

차트의 Structure를 보았을때 GS는 최근 캔들 기준으로 이미 전고점과 최고점을 돌파했는데, XLF는 전고점만 돌파했을 뿐 최고점은 돌파하지 못했습니다. 즉, 이를 근거로 GS가 XLF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죠. 물론 이외에 다른 기준을 통해 상승 여부를 판단할 수 있지만, 제가 생각하는 기준 중 가장 효율적인 것이 바로 Structure를 통한 방법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기준인 Divergence를 살펴보겠습니다. 주식 조금 해보셨다면 Divergence에 대해 들어보셨을 것이고, 통상 RSI Divergence가 익숙하실 껍니다. 제가 활용하는 방법은 RSI Divergence는 아니지만 원리는 유사합니다. GS와 XLF 차트간 Divergence가 발생한 것을 보라색 선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하여 GS가 XLF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죠.

저는 StructureDivergence를 통해 GS가 상승할 확률이 높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런데 얼마나 상승해야 잘 상승한 것일까요? 5%? 10%? 정답은 바로 섹터에 있습니다. GS가 속한 금융섹터(XLF), 나아가 금융섹터가 속한 전체 주식섹터(SPY)보다 GS가 더 상승한다면 우리는 종목을 선택을 잘 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섹터는 모든 것의 기준이 되어 준다는 사실입니다. 제가 섹터분석을 중요시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죠.


03 섹터분석 예시: 유의 종목

이번에는 투자할 때 주의가 필요한 종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제가 설명을 위해 선택한 유의 종목인 OWL은 금융섹터에 속하는 주식 중 하나이며, XLF는 금융섹터를 대표하는 ETF중 하나입니다. 이번에도 2가지 도구를 사용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바로 Structure와 Divergence를 활용하는 것이죠.

섹터투자 비추천 종목

차트의 Structure를 보았을때 XLF는 전고점을 확실히 돌파하였으나, OWL은 전고점 근처에 겨우 도달한 수준입니다. 즉, 이를 근거로 OWL이 XLF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할 확률이 높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죠.

두번째 기준인 Divergence를 살펴보겠습니다. XLF와 OWL 차트간 상승 Divergence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즉, 이를 근거로 OWL이 XLF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할 확률이 높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죠.

그러면 이 분석을 통해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무엇일까요? OWL은 절대 투자하면 안되는 종목일까요? 절대 아닙니다. 우리의 목표는 좀 더 많이 상승할 종목을 찾는 것입니다. OWL도 분명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OWL이 XLF(금융섹터) 및 SPY(전체섹터)보다 덜 상승할 가능성이 있기에 OWL보다는 GS에 투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돈은 한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투자해야 보다 빨리 퇴사할 수 있을테니까 말이죠.

지금까지 제가 미리 분석해서 선정한 GS와 OWL이라는 금융주를 가지고 주식투자 섹터 분석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앞으로 GS와 OWL의 성과가 어떤지는 시간이 지나고 다시 재평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04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추천

☆ 산타랠리 기간, 뜻, 수익률 및 모의투자 결과(20년간) 총정리

☆ 1월 효과 검증결과, 뜻, 발생원인 및 주요 비판거리 총정리

☆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

☆ 비트코인 등장 및 탄생배경(역사) 5가지 총정리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차이점, 상관관계 및 투자전략 활용(2025년)

Leave a Comment